아이가 자주 떼쓴다면 부모 입장에서는 정말 짜증이 날 수도 있다고 생각이 되는데요, 하지만 아이가 떼쓰는 데는 다 이유가 있고, 어떻게 보면 당연한 행동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아이가 떼쓰는 행동은 부모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거나 말의 표현력이 떨어지는 아이에게서 비교적 흔하게 일어난다고 합니다. 떼쓰는 아이는 만 2~4세 사이에 가장 많은데, 50~80%의 아이들은 1주일에 1회 이상 떼를 쓰며, 20% 가량은 거의 매일 떼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5세부터는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게 되면서 떼쓰는 일은 점차 줄어든다고 합니다. 5세가 넘어서도 떼쓰기 행동이 지속되는 경우 정서적 문제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고 합니다. 만약 이때 부모가 흥분해서 아이에게 화를 내거나, 말싸움을 하거나, 협박하거나, 때리면 아이 발달에 좋지 않다고 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말과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합니다. 화나거나 떼쓰는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서 역할놀이를 하거나, 아이에게 떼쓸 수 있는 장소를 미리 알려주거나, 뒤에서 껴안아 진정시키는 등의 방법이 도움된다고 합니다.

아이가 떼쓴다고 해서 야단치고 잔소리만 한다면 아이의 정신적인 건강은 나빠진다고 생각이 되네요. 그러니까 아이가 떼쓰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앞에서 처럼 아이를 진정시키는 방법이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다.

Posted by marsism
,